카테고리 없음

주유구는 왜 차마다 위치가 다를까?

fiction-google 2024. 2. 12. 10:11
반응형

 

자신의 차가 아닌 처음 타보는 차에 앉게 되면 먼저 신경이 쓰이는 것 중 하나가 주유구의 위치다. 의외로 각 나라별 종류별 차량마다 이 주유구의 위치가 제 각각이다. 셀프 주유소가 늘어나면서 주유소에 차를 세울 때 주유구 위치가 틀리면 번거로워진다. 한 번쯤 그런 경험들이 없는가? 모든 차들이 같은 위치에 주유구가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 하지만 실상은 외제차나 국산차가 주유구의 위치가 다른 경우가 흔히 있다.

그럼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일까? 요번에는 그 이유를 알아보자.

 

*주유구의 위치와 안전이 관련이 있다?

주유구의 위치는 너무도 당연한 말이지만 연료탱크의 레이아웃과 관계가 있다. 그리고 이 레이아웃은 고온의 열을 받게되는 머플러 배기구의 구조와도 관계가 밀접하다.

급유구 쪽에 머플러가 위치한 경우 고열을 띈 머플러에 가솔린이 흘러내리면 큰 일이 날 수 도 있는 일이다. 최악의 경우 차량에 불이 붙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런 이유로 ‘주유구는 머플러의 반대 쪽에 배치’하게 된다. 라고 하는 것도 하나의 설이다.

위치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왼쪽이 더 많은 듯 하지만 이것도 회사마다 그리고 차량마다 통일 된 것이 아니다. 차량의 특징에 따라서 합리적으로 배치되어지는 모양이다.

또한 도로의 통행 방향과도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는데 우리나라와 같이 우측통행을 하는 나라는 주유구가 오른쪽에, 영국, 일본처럼 좌측 통행을 하는 나라는 좌측에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확실히 미국이나 독일차는 주유구가 오른쪽이 많은 듯 한데 왜 같은 우측 통행을 하는 나라인 한국의 국산차는 왼쪽이 많은 느낌이 드는 것일까?

이것은 소문에 의하면 기술제휴를 어느 나라와 맺었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한다. 만약 미국, 독일과 제휴를 맺었다면 주유구가 오른쪽일 확률이 높고, 일본 등과 맺었으면 왼쪽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

하지만 이 주유구가 어디에 있나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있다. 차량 운전석에서 보이는 계기판을 살펴보면 주유소 아이콘처럼 급유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이 급유 아이콘의 옆에는 반드시 세모(▶) 모양의 지시가 있는데 이 세모 기호가 가리키는 방향이 자신의 자동차 주유구가 있는 쪽 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이 세모(▶) 기호가 없다면 운전석 쪽에 주유구가 있는 것이라 한다.

 

*하지만 이상한 위치에 주유구가 있는 차도 있다?

주유구는 대부분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누구나 먼저 주유구를 찾을 때는 뒷 쪽을 먼저 살필 것이다. 하지만 게 중에는 있어야 할 위치에 주유구가 없는 경우의 차들도 존재한다.

또한 차량 안쪽에서 당겨야 열릴 주유구 레버가 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열쇠로 주유구를 직접 열어야 하는 차량도 있다. 이런 트럭이나, , 외국 경차들은 운전석 B필러의 아래 쪽이나 우측 뒷바퀴 윗 쪽에 배치되게 설계된 경우도 많다.

간혹 후륜구동 스포츠카 중에 엔진이 뒤에 실린 차량들은 자동차의 앞쪽에 주유구가 위치하기도 한다. 가장 번거로운 차량은 차량의 본네트를 열고 안쪽에 위치한 주유구에 매번 기름을 넣어야 하는 타입이라 하겠다. 이런 타입의 스포츠카는 왠만한 주유소 직원은 쩔쩔 맬 것이 분명하다. 주유구가 보이지 않으니 말이다.

연료통은 차량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해 대부분 엔진이 실리는 반대편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기름의 남은 양에 따라서 그 중량이 접지력과 연관이 된다.

시내주행 위주인 자가용에서는 별 의미를 못 느끼겠지만 와인딩을 즐기는 스포츠카에서는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주유구의 위치는 차량이 충돌 했을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한 설계이다. 휘발성이 강하고 인화점이 낮은 휘발유는 작은 스파크에도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각자 주유구의 위치를 확인하고 주유소에서 불편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자. 또한 주유시는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