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O형 남자가 왜 바람을 피우게 될까?

fiction-google 2024. 4. 28. 14:19
반응형

 

남성은 애인과 교제를 할 때에도 다른 여성에게 관심이 가고 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여성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많은 경우 습성을 보면 남성에게 조금 더 그런 경향이 있는 듯합니다. 이것은 과연 편견인 것일까요? 남자는 어떤 경우에 바람을 피우고 싶어지는 것일까요? 여기에 더해서, 황당할 수 있지만 혈액형을 통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런 근거는 없으니 재미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1. O형은 건강함이 문제가 될 수 있다.

O형은 활기있고 힘이 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애인이 자신의 체력을 따라오지 못하고 힘들어 하는 경향이 많아지면 불만이 쌓여갈 수 있습니다. 성적인 요구에 대한 문제가 아니더라도 함께 자전거 여행을 가거나 등산을 가거나 데이트를 하게 될 때에도 적극적으로 많은 일을 하려는 O형의 체력을 따라가는 것은 사실 피곤한 일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욕심이 많은 O형은 자신과 어느 정도도 보조를 맞춰주지 못하는 상대가 거추장스러워 질 수 있습니다.

 

2. O형 남성은 틈이 없는 여성을 기피한다.

O형 남성은 상대를 지키려는 기질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장과정에 따라서 성격은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가지 일에 정신이 쏠리기 쉽고 한번 정한 일은 잘 바뀌지 않습니다. 그것이 상대에 대한 사명감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애인이 너무 완벽하고 똑부러져서 자신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게 되면 왠지 쓸쓸하고 공허함에 빠지기 쉽고 보다 자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눈이 먼저 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O형은 여성과 사귐에 있어서 좀 부족할 수 있는 면이 있는 여성이 매력적으로 다가오곤 합니다. 그럼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스스로의 자존심도 지키려는 성향이 있는 듯 합니다.

 

3. O형은 바람을 피워도 금새 들통난다.

O형은 그리 치밀하지 못한 성격이 많다고 합니다. 덤벙대고 거짓말을 해도 앞뒤가 잘 안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표정에서 거짓말을 가장 읽기 쉬운 것이 O형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십중팔구는 O형이 바람을 피우면 걸린 수 있습니다. 이들은 바람을 피고나서 애인과 만날 때 뭔가 초조해하고 어수선합니다. 오히려 그런 낌새로 ‘무슨 일 있어?’하고 묻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쓸데없는 핑계를 대다 오히려 덜미를 잡히곤 합니다. 스마트폰을 보려고 해도 찔끔하고 눈을 똑바로 못 보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O형이 바람을 피우는 데에는 많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4. O형과 어울리는 상대

O형은 자신만을 사랑하고 존경해 주는 이성을 선호합니다. 남성의 경우 자신을 성인 남성으로서 봐주길 바랍니다. 그래서 어린아이처럼 자신을 대하는 것이 아닌 자신을 응원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 여성을 찾아 헤맬 수 있습니다. O형 남성은 기본적으로 명령형에 발끈하게 되며 같은 말이라도 정중하게 또는 애교있게 부탁하는 스타일의 여성이 이상적입니다. 자신의 어른스러움과 남자다움을 칭찬해주고 인정해주는 여성을 원합니다. 여성이 만약 현명하다면 O형 남성에게 무엇을 시킬 때 스스로 하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 최대의 결과를 가져오도록 할 수 있을 것입니다. O형 남성은 그런 현명한 현모양처 타입의 여성이 어울린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O형 여성의 경우는 남성보다 더 복잡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번에는 다루지 않을 것입니다. O형 남성과 O형 여성의 상성은 그리 좋다고 볼 수 없습니다.

 

때로는 바람을 피움으로써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확실히 말해 이것은 일시적인 위안이 될 뿐입니다. 역지사지로 생각해 자신의 애인이 바람을 피웠을 경우 자신이 받을 충격을 생각해 보도록 하십시요. 바람을 피우기 전에 상대에게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 가를 확실하게 상담해 보는 것이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도 저도 아니면 차라리 한쪽과 확실하게 먼저 헤어지는 것이 나을지도 모릅니다. 자신에게도 그렇지만 스스로가 상대와 있어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면 상대에게도 당신은 얼마 안돼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이 뻔합니다. 사랑은 서로가 행복해야 지속 가능한 것일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