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마음에 심한 상처를 입는 순간이 있습니다. 우리는 실연이나 폭언, 비난 등 많은 이유로 상처를 입는데 이런 때에 정신적 데미지를 입었다기 보다는 마음에 상처를 입었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실제로 심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가 있을 때 우리의 뇌는 물리적으로 타격을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연 우리의 마음과 뇌는 분리 가능한 것일까요? 서로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일까요?
물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작은 마음의 상처들로 우리의 뇌가 타격을 입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전쟁이나 유아기의 성적학대 등과 같은 커다란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는 마음과 뇌가 물리적으로 진짜 타격을 입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그런 커다란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이 기억에 관한 뇌의 해마가 축소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월남전에 참전했던 병사가 악몽에 시달리거나, 끔찍한 순간을 다시 떠올리고, 집중력이 현저히 하락하거나, 불안에 시달리는 등 심적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이라 불리는 증상에 시달리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한 연구에서 이런 증후군에 시달리는 병사의 뇌와 그렇지 않은 병사의 뇌를 비교해 보니 놀랍게도 심한 스트레스를 느끼는 병사의 오른 쪽 해마가 평균적인 크기에 비해 8%나 줄어들어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중증의 환자의 뇌는 왼쪽 해마가 26%, 오른쪽 해마가 22%나 줄어들어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유아기에 성적학대를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도 역시 보통사람에 비해 해마가 줄어들어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해마는 단기 기억과 관계된 기관입니다. 심적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환자는 지능 등은 보통사람과 같지만 전화번호를 암기하는 등의 단기 기억력은 보통 사람에 비해서 40%나 낮다고 합니다. 다르게 생각하면 어쩌면 해마의 크기가 작은 사람이 심적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이 잘 걸리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심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로 인해 해마가 손상되어 심적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에 걸리는 것이라는 설이 농후합니다.
일설에서는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이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코티졸은 우리 몸의 순발력을 높여주는 호르몬으로 우리가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순간 등에 뇌에서 대량으로 분비되어 그 순간을 모면하게 해주려고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지만 이것이 지속적으로 몇 개월에 걸쳐 분비되게 되면 해마의 뉴런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가설에 지나지 않는 것이 해마의 세포 내에는 코티졸이 너무 적어도 너무 많아도 악영향을 받게 되는 세포들이 있어서 아직은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우리가 뇌와 정신, 마음이 따로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마음에 상처를 받는다고 느끼는 것은 사실 뇌에서 판단되어진 정보가 우리의 심장과 운동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각종 호르몬 밸런스를 붕괴시킴으로써 일어나는 육체적 감각에 지나지 않는 것 입니다. 결국 우리의 마음과 정신은 뇌의 통제하에 있다는 것이 과학에서는 암묵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셈입니다.
크게 느껴지는 충격적인 마음의 상처는, 즉 뇌가 그렇게 판단해서 느끼게되는는 마음의 상처라는 감각은 그 정도가 지나치거나 허용범위를 넘으면 뇌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