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브릭스(BRICS): 신흥경제대국들의 협력체제

fiction-google 2025. 4. 11. 15:45
반응형

🌐 브릭스(BRICS): 신흥경제대국들의 협력체제


📘 1. 브릭스란 무엇인가요?

**브릭스(BRICS)**는 빠른 경제성장과 세계 경제에서의 비중 확대를 바탕으로 주목받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공화국(South Africa) 5개국을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본래는 2001년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Goldman Sachs)**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개념으로, 당시에는 BRICs(남아공 제외)라는 약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용어는 단순한 투자 개념에서 출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경제·지정학적 협력체로 진화하며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집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2. 브릭스의 탄생 배경

📈 2.1 골드만삭스 보고서 (2001)

  • 당시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였던 **짐 오닐(Jim O’Neill)**은 'Building Better Global Economic BRICs'라는 보고서에서 BRICs 4개국이 향후 세계 경제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2.2 공통적인 성장잠재력

  • 넓은 영토, 인구 규모, 풍부한 자원, 빠른 산업화 속도 등 주요 성장 동력을 공유
  • 글로벌 생산 및 소비시장에서 비중 증가

📅 3. 브릭스의 역사적 발전과정

🔹 2006년: 비공식 외무장관 회담 시작

🔹 2009년: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첫 브릭스 정상회의 개최

🔹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정식 가입 → BRICS로 명칭 변경

이후 매년 정상회의와 장관급 회의를 통해 국제 정치, 무역, 금융, 안보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4. 브릭스 5개국 개요


📊 5. 브릭스의 주요 의제와 협력

💶 5.1 경제 협력

  • 무역 촉진, 외환시장 안정화, 브릭스 개발은행(NDB) 설립
  • 미국 달러 의존도 축소, 브릭스 간 결제 시스템 논의

💬 5.2 정치·외교적 협력

  • 다극화 세계 질서 지지
  • UN 개혁, 글로벌 거버넌스의 민주화 요구
  • G7에 대응하는 공동 목소리 제시

🌱 5.3 지속가능한 개발 및 환경

  • 신흥국의 입장을 반영한 기후변화 대응 방안 모색
  • 재생에너지, 환경 기술 교류 확대

🏥 5.4 보건·인적교류

  •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의약품, 백신 공급 협력
  • 교육, 문화교류 및 청년포럼 등 사회분야 연계 강화

🏦 6. 브릭스 개발은행(NDB)

📌 설립 배경

  • 기존 국제금융기구(IMF, WB) 중심의 서방 금융체제에 대한 대안으로 창설
  • 2014년 브라질 포르탈레자 정상회의에서 설립 합의

💵 목적

  • 회원국 및 개도국의 인프라 개발과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
  • 달러 중심 금융 질서 탈피를 위한 국제통화 다변화 도모

📍 본부: 중국 상하이


📉 7. 브릭스의 도전과 과제

⚠️ 7.1 경제·정치 체제의 이질성

  • 민주주의 국가(인도, 남아공)와 권위주의 체제(중국, 러시아) 공존
  • 공동 입장 도출의 어려움

💲 7.2 대내외 경제 불안정

  • 러시아의 제재, 브라질의 정치 불안, 남아공의 구조적 실업 등

🌐 7.3 글로벌 영향력 확대의 한계

  • G7이나 OECD와 같은 기존 선진국 중심 체제에 비해 제도적 기반 미흡

💬 7.4 대외 이미지 및 브랜드 부족

  • 통합 브랜드로서의 인지도 부족
  • 공동 외교, 공동 프로젝트의 가시성 미약

🌍 8. 브릭스의 미래 전망

🌀 다극화 세계 질서의 주도 세력

  • 미국 중심의 단극 체제에서 브릭스를 축으로 한 다극 체제 부상

💱 통화 다변화 추진

  • 브릭스 공동통화 도입 논의 (장기 과제로 진행 중)
  • 달러 이외 통화 결제시스템 연구

🤝 확대 가능성 (BRICS+)

  • 아르헨티나,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가입 희망국 다수
  • 향후 중견국 중심 블록 확대 가능성

📌 2023년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에서 6개국의 신규 가입이 승인되며 '확장된 브릭스' 체제 개막


✅ 9. 브릭스는 국제질서 재편의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브릭스는 단순한 경제 개념을 넘어, 국제 정치경제에서 기존 질서에 도전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연대체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선진국 주도의 결정 구조에 의문을 제기하고,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신흥국의 발언권 확대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물론 경제 및 정치적 이질성과 내·외부 리스크가 존재하지만, 협력의제 확대, 제도적 연계 강화, 국제금융 대안 체계 마련 등을 통해 점진적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브릭스는 여전히 ‘진행 중인 프로젝트’이며, 향후 국제정치와 경제 지형을 재편하는 데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반응형